맨위로가기

갓파쿠와 여름방학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갓파쿠와 여름방학을》은 초등학생 코이치가 강에서 갓파의 아이 '쿠'를 발견하여 가족으로 받아들이면서 겪는 이야기를 그린 애니메이션 영화이다. 쿠는 여름 방학 동안 코이치와 함께 갓파 전설이 있는 토노시로 여행을 떠나지만, 언론의 과도한 관심과 아버지의 유품을 되찾으려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는다. 결국 쿠는 오키나와로 떠나 새로운 삶을 시작한다. 이 영화는 개발과 환경 파괴, 학교 폭력, 언론의 책임감, 인간관계의 소중함 등을 주제로 다루며, 여러 영화제에서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메가박스 애니메이션 영화 - 해수의 아이 (영화)
    《해수의 아이》는 이가라시 다이스케의 만화를 원작으로 스튜디오 4℃에서 제작하고 와타나베 아유무가 감독한 애니메이션 영화로, 여름 방학 중 신비한 소년들과 만나 초자연적인 현상에 휘말리는 소녀 루카의 이야기를 그리고 있으며 히사이시 조가 음악을 맡았다.
  • 갓파 - 갓파 (소설)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소설 갓파는 정신과 환자의 경험을 빌려 자본주의 사회의 부조리와 인간 본성을 풍자적으로 묘사한 액자식 구성의 작품으로, 작가의 고뇌를 반영한 디스토피아 소설로 재평가받으며 다양한 미디어 믹스로 제작되었고 작가의 기일은 갓파기라고 불린다.
  • 갓파 - 야마와로
    야마와로는 일본 서부 지역에서 가을에 갓파가 산으로 들어간 모습으로 여겨지는 요괴로, 갓파와 동일한 존재로 인식되며 계절에 따라 강과 산을 오가는 존재로, 이들의 이동 경로를 막으면 재앙을 불러온다는 속설이 있다.
  • 이와테현을 배경으로 한 영화 - 스즈메의 문단속
    스즈메의 문단속은 17세 소녀 스즈메가 재난의 문을 닫기 위한 모험을 그린 신카이 마코토 감독의 애니메이션 영화이며, 2011년 동일본 대지진의 영향을 받아 제작되어 일본과 대한민국에서 흥행에 성공했다.
  • 이와테현을 배경으로 한 영화 - 구스코 부도리의 전기
    구스코 부도리의 전기는 미야자와 겐지가 1931년경 완성한 소설로, 주인공 구스코 부도리가 겪는 고난과 자기 희생을 통해 이하토브를 구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갓파쿠와 여름방학을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영화 포스터
영화 포스터
로마자 표기Kappa no Kū to Natsuyasumi
번역여름날의 갓파 쿠
영화 정보
감독하라 케이이치
원작목로그 마사오의 "갓파 오사와기"와 "갓파 びっくり旅"
각본하라 케이이치
음악와카쿠사 케이
제작사신에이 동화
배급사쇼치쿠
개봉일2007년 7월 28일
2008년 3월 8일
2008년 6월 26일
2008년 9월 10일
상영 시간138분 (극장 공개판)
141분 (특별판)
언어일본어
제작비36,000,000엔
흥행 수입3.6억 엔
스태프
촬영야나이 코이치
편집고지마 도시히코
출연
주요 성우도미자와 가자토
요코가와 다카히로
다나카 나오키 (코코리코)
니시다 나오미
마쓰모토 다마키
야스하라 요시토
우에마쓰 나쓰키
나기라 겐이치
고리 (개러지 세일)

2. 줄거리

에도 시대, 한 갓파 아버지가 밤길에서 사무라이와 상인에게 나타나 연못을 간척하여 논으로 만드는 것을 멈춰달라고 간청한다. 그러나 사무라이는 이를 악한 의도로 오해하고 갓파를 베어 버린다. 이 광경을 목격한 갓파의 아들은 갑자기 일어난 지진으로 땅이 갈라지는 틈에 떨어져 갇히게 된다.

시간이 흘러 현대 일본 도쿄도 히가시쿠루메시. 평범한 초등학생 우에하라 코이치는 하굣길에 강가에서 기묘한 모양의 돌을 발견한다. 호기심에 돌을 깨뜨려 보니, 그 안에는 화석처럼 바싹 마른 생물이 들어 있었다. 코이치는 돌을 집으로 가져와 물에 담그자, 생물은 숨을 쉬며 깨어난다. 그것은 바로 땅속에서 가사 상태에 있던 갓파의 아이였다. 코이치는 갓파에게 '쿠'라는 이름을 지어주고, 우에하라 가족은 쿠의 존재를 비밀로 하며 함께 살기 시작한다. 처음에는 쿠를 싫어했던 코이치의 여동생 히토미도 점차 마음을 열고, 가족의 애완견 오산(웃상)은 쿠와 텔레파시로 소통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진다.

어느 날 밤, 쿠가 우연히 사람들에게 목격되면서 일본 전역에 갓파 목격담이 퍼진다. 쿠는 자신의 동족을 찾고 싶어 하고, 코이치는 여름 방학을 이용해 갓파 전설이 남아있는 이와테현 토노시로 쿠와 함께 여행을 떠난다. 그곳의 숙소에서 쿠는 자시키와라시를 만나지만, 더 이상 다른 갓파는 없을 것이라는 말을 듣고 실망한다.

집으로 돌아온 코이치와 쿠는 사진 잡지 기자들에게 몰래 사진을 찍히고 만다. 이 사건으로 언론의 관심이 집중되고, 우에하라 가족의 집은 취재진에게 둘러싸여 사생활을 침해받는다. 결국 가족들은 쿠와 함께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출연하기로 결정한다. 방송 도중, 한 크립티드 전문가가 등장하는데, 그는 쿠의 아버지를 죽인 사무라이와 닮았으며, 사무라이가 잘라 보관해 온 갓파의 팔을 증거로 내민다. 쿠는 그것이 아버지의 팔임을 알아보고 슬픔과 분노에 차 초능력을 사용하여 스튜디오를 아수라장으로 만들고, 오산을 타고 아버지의 팔을 되찾아 달아난다. 하지만 탈출 과정에서 오산은 그만 교통사고로 목숨을 잃는다. 깊은 슬픔에 잠긴 쿠는 라디오 타워에 올라가 자살을 생각하지만, 갑자기 나타난 (물의 정령)의 만류로 다시 살아갈 것을 다짐한다.

한편, 쿠와의 만남을 통해 코이치는 따돌림을 당하던 친구 키쿠치 사요코에게 친절하게 대하기 시작하고 그녀를 옹호해 준다. 키쿠치는 부모님의 이혼으로 곧 이사를 가게 될 것이라고 코이치에게 말한다. 얼마 후, 쿠에게 요괴의 글씨로 쓰인 엽서 한 장이 도착한다. 발신자가 인간이 아닌 자신의 동료임을 직감한 쿠는 우에하라 가족을 떠나기로 결심한다. 가족들은 슬픔 속에서 쿠와의 마지막 저녁 식사를 함께하며 이별을 준비한다.

다음 날, 코이치는 취재진의 눈을 피해 쿠를 골판지 상자에 넣어 기요세시의 한 편의점에서 택배로 보낸다. 트럭이 쿠가 담긴 상자를 싣고 떠날 때, 코이치는 처음으로 쿠의 마음의 소리를 듣게 되고, 쿠의 작별 인사에 눈물을 흘리며 트럭을 배웅한다.

쿠가 도착한 곳은 오키나와의 얀바루 지역으로, 엽서를 보낸 이는 키지무나였다. 그는 텔레비전 뉴스에서 쿠를 보고 걱정되어 엽서를 보낸 것이었다. 키지무나는 쿠에게 자신의 모습을 바꾸는 법을 알려주고 함께 지내게 된다. 쿠는 아버지의 팔을 소중히 간직한 채 오키나와의 풍요로운 자연 속에서 새로운 삶을 시작하며, 다른 갓파들을 찾고 언젠가 우에하라 가족과 재회할 것을 다짐한다.

3. 등장인물

이 작품의 주요 등장인물과 목소리 연기를 맡은 일본어 성우는 다음과 같다. 각 등장인물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등장인물일본어 성우
쿠 (갓파)토미자와 카자토
우에하라 코이치요코카와 타카히로
우에하라 야스오타나카 나오키
우에하라 유카리니시다 나오미
우에하라 히토미마츠모토 타마키
웃상 (개)야스하라 요시토
키쿠치 사요코우에마츠 나츠키
자시키와라시이노우에 리카
사무라이하자마 미치오
아나운서야지마 아키코
사회자후지와라 케이지
키지무나고리


3. 1. 주요 등장인물

; 쿠 (クゥ|쿠일본어)

: 갓파의 아이. 이야기의 중심인물이다. 아버지가 인간에게 살해당한 직후 일어난 큰 지진으로 땅속에 갇혀 3백 년 이상 화석과 같은 상태로 생존했다. 히가시쿠루메시에 사는 초등학생 우에하라 코이치에게 우연히 발견되어 구조된다. 오랫동안 갇혀 있었기 때문에 자신의 진짜 이름은 잊어버렸고, 코이치가 지어준 '쿠'라는 이름을 사용한다.

: 갓파의 특성상 오이물고기, 벌레 등을 좋아하며, 스모와 수영에 능하다. 같은 요괴의 기척을 느끼거나 동물과 마음으로 대화할 수 있는 신통력을 지녔다. 감각 또한 매우 예민하다. 약간의 사투리를 섞어 인간의 말을 구사하며, 순수하고 호기심 많은 성격이지만 동시에 예의 바르고 의리를 중요하게 생각한다.

: 인간은 무서운 존재라고 배워왔기에 처음에는 경계심을 보였으나, 우에하라 가족의 따뜻함 속에서 모든 인간이 두려운 존재는 아님을 깨닫게 된다. 그러나 현대 사회에 갑작스럽게 나타난 그의 존재는 언론의 과열된 관심과 대중의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며 시련을 겪게 된다. 원작자는 갓파를 아메리카 원주민과 같은 소수 민족에 비유하기도 했다.[17] 쿠의 걷는 방식이나 수영 등은 펭귄의 동작을 모델로 삼았다.

; 우에하라 코이치 (上原康一|우에하라 고이치일본어)

: 초등학교 5학년 소년. 하굣길에 우연히 쿠가 갇혀 있던 돌을 발견하고 집으로 가져와 물에 담가 쿠를 깨어나게 한다. 처음에는 동급생 키쿠치 사요코가 괴롭힘을 당하는 것을 보고도 방관하는 등 사춘기 소년의 냉담한 면모를 보이기도 했으나, 쿠와의 만남과 여러 사건들을 겪으며 점차 내면적으로 성장한다. 쿠의 존재가 세상에 알려진 후 친구들에게 소외당하는 경험을 통해 오히려 사요코와 가까워지고 그녀를 이해하게 된다. 쿠와의 우정을 통해 책임감과 타인에 대한 공감 능력을 배우는 모습을 보여준다.

; 웃상 (オッサン|옷산일본어)

: 우에하라 가족이 키우는 잡종 애완견. 코이치가 어릴 적 주워와 키우게 되었으며, 얼굴이 아저씨 같다고 해서 '웃상'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쿠와 마음으로 대화할 수 있는 특별한 능력을 가졌으며, 말없이 쿠와 코이치를 곁에서 지켜보는 든든한 존재이다. 과거에 자신을 아끼던 주인이 있었으나, 그 주인이 겪는 스트레스 때문에 학대를 당하고 도망쳐 나온 아픈 기억을 가지고 있다. 쿠가 텔레비전 방송국에서 도망칠 때 그를 돕다가 도쿄 타워 근처에서 자동차에 치여 목숨을 잃는다.

; 우에하라 야스오 (上原康一|우에하라 야스오일본어)

: 코이치와 히토미의 아버지이자 평범한 샐러리맨. 가정에서는 다소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하지만, 코이치의 간절한 부탁을 받아들여 쿠를 가족으로 받아들이고 보호하려 애쓴다. 쿠의 존재가 세상에 알려지면서 겪게 되는 언론의 지나친 관심과 사회적 압박 속에서 가족을 지키기 위해 고뇌하는 모습을 보인다.

; 우에하라 유카리 (上原友佳里|우에하라 유카리일본어)

: 코이치와 히토미의 어머니이자 전업 주부. 처음에는 갑자기 나타난 갓파인 쿠를 징그럽게 여겨 집에 들이는 것을 반대했지만, 함께 생활하면서 점차 마음을 열고 쿠를 가족의 일원으로 받아들인다. 장을 봐 온 식료품을 정리하는 모습을 쿠가 '사냥꾼'으로 여기며 감탄하자 기분이 좋아지는 등[17] 소소한 계기를 통해 쿠와 가까워진다.

; 우에하라 히토미 (上原ひとみ|우에하라 히토미일본어)

: 코이치의 여동생인 유치원생. 5살. 쿠가 온 이후 가족들의 관심이 쿠에게 쏠리자 처음에는 질투심을 느끼고 쌀쌀맞게 대하지만, 점차 쿠와 정이 들어 사이좋게 지내게 된다. 아직 어려서 쿠의 존재를 비밀로 해야 한다는 것을 깜빡하고 유치원에서 이야기하는 바람에 소문이 퍼지는 계기를 만들기도 한다.

; 키쿠치 사요코 (菊池紗代子|기쿠치 사요코일본어)

: 코이치와 같은 반 친구. 과묵하고 내성적인 성격 탓에 동급생들에게 지속적으로 괴롭힘을 당하지만, 감정을 드러내지 않고 묵묵히 견디는 모습을 보인다. 코이치가 쿠를 발견하는 장면을 목격했으며, 이후 쿠의 존재가 알려지면서 코이치 역시 친구들에게 외면당하자 그를 이해하고 감싸주며 가까워진다. 부모님의 이혼으로 이사를 가게 되지만, 코이치와의 관계 속에서 조금씩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며 성장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름은 츠게 요시하루의 만화 『붉은 꽃』의 등장인물에서 따왔으며[18], 작중 괴롭힘 장면의 대사는 해당 작품에 대한 오마주이기도 하다.

; 쿠의 아버지

: 쿠가 아주 좋아하는 아버지 갓파. 3백 년 전, 자신들이 사는 '용신늪'의 간척을 막기 위해 인간에게 간청하러 나섰다가 사무라이에게 오해를 받아 살해당한다. 물고기 잡이의 명수였으며, 쿠처럼 사투리를 사용했다.

; 키지무나 (キジムナー|기지무나일본어)

: 오키나와에 사는 요괴. 인간의 모습으로 변신할 수 있으며, 작중에서는 시사를 닮은 모습으로 그려진다. 텔레비전을 통해 쿠의 사정을 알게 된 후, 그를 돕기 위해 자신의 거처로 초대하는 편지를 보낸다. 쿠가 인간 사회를 떠나 새로운 환경에서 살아갈 수 있도록 돕는 조력자 역할을 한다.

3. 2. 우에하라 가족

우에하라 야스오성우: 타나카 나오키

코이치와 히토미의 아버지이자 평범한 샐러리맨이다. 평소 가정에서는 아내와 딸에게 다소 밀리는 경향이 있어 조금 의지할 데 없는 모습을 보인다. 병든 쿠를 보호하고 집에서 키울 수 있도록 부탁하는 코이치의 소원을 받아들이지만, 그 때문에 쿠를 무서워하던 아내 유카리와 딸 히토미와 한동안 대립했다 (나중에 가족 모두 쿠를 환대한다). 서둘러 귀가해서는 쿠를 돌본다. 우에하라가에서는 쿠가 세상에 알려지는 것을 두려워했다. 호기심에 노출되어 최악의 경우에는 실험 동물처럼 취급받을까 염려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쿠의 사진이 잡지에 실려 존재가 스쿠프되면서 상황이 바뀌어 버린다. 처음에는 취재를 계속 거절했지만, 다니는 회사의 거래처에서 TV 출연 요청을 받고 거절할 수 없어, 어쩔 수 없이 쿠를 출연시키게 된다.
우에하라 유카리성우: 니시다 나오미

코이치와 히토미의 어머니이자 전업 주부다. 처음에는 쿠를 징그럽게 여겨 집에 두는 것을 반대했지만, 장을 보고 돌아와 식료품을 냉장고에 넣는 모습을 쿠가 "사냥꾼"이라고 생각하자 기분이 좋아진[17] 것을 계기로, 차츰 쿠와 마음을 터놓게 된다.
우에하라 히토미성우: 마츠모토 타마키

코이치의 여동생으로, 유치원생이며 5살이다. 처음에는 쿠가 집에 온 이후로 별로 관심을 받지 못하게 된 것이 재미없어서 쿠에게 질투를 했지만, 후반에는 차츰 사이가 좋아진다. 또한, 쿠가 집에 있다는 것을 깜빡 잊고 유치원에서 말해버려, 소문의 씨앗을 뿌렸다.

3. 3. 그 외 등장인물

; 키쿠치 사요코

: 성우 - 우에마츠 나츠키

: 코이치의 같은 반 친구. 말이 없고 조용한 성격 탓에 다른 아이들에게 따돌림을 당하지만, 감정을 드러내지 않고 무시하며 견딘다. 코이치가 쿠를 발견하는 계기를 제공했으며, 쿠의 존재가 알려진 후 코이치 역시 친구들에게 외면당하자 그를 감싸주며 가까워진다. 이야기 후반에는 부모님의 이혼으로 이사하게 되지만, 코이치와 편지를 주고받기로 약속하는 등 조금씩 성장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름은 츠게 요시하루의 만화 『붉은 꽃』의 등장인물에서 따왔다.[18] 작중 따돌림 장면의 대사는 해당 만화의 오마주이기도 하다.

; 쿠의 아버지

: 성우 - 나기라 켄이치

: 쿠가 무척 따르던 아버지 갓파. 물고기 잡이의 명수이다. 3백 년 전, 갓파들이 살던 '용신늪'을 간척하여 으로 만들려는 계획을 막기 위해 인간(사무라이)에게 간청하러 갔다가, 오해를 받고 잔인하게 살해당한다. 그의 죽음은 인간의 폭력성과 오해에서 비롯된 비극을 보여준다.

; 사무라이

: 성우 - 하사마 미치오

: 에도 시대무사. 촌장과 공모하여 갓파들이 사는 늪을 매립할 계획을 세우던 중, 나타난 쿠의 아버지를 보고 자신의 악행이 들켰다고 생각해 그를 베어 살해한다. 현대에 등장하는 민속 연구가 시미즈의 조상이다. 당시 권력층의 무지와 폭력성을 상징하는 인물이다.

; 시미즈

: 성우 - 하사마 미치오

: 민속 연구가이자 쿠의 아버지를 살해한 사무라이의 후손. 선조와 외모가 매우 닮았다. 갓파의 팔 미라를 소지하고 있으며, 이를 근거로 갓파의 실존을 주장한다. 집안 대대로 "선조인 무사가 장난꾸러기 갓파를 퇴치했다"는 왜곡된 이야기를 전해 들었기에, 쿠가 말하는 진실은 알지 못한다. 쿠에게는 호의적인 태도를 보이며, 쿠가 아버지의 팔이라고 주장하며 가져간 미라를 포기하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해당 발언 장면은 극장판에서는 편집되었다.)

; 자시키와라시

: 성우 - 이노우에 리카

: 일본 이와테현 토노의 오래된 민박집에 사는 요괴. 어린아이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집을 지키는 존재로 알려져 있다. 한밤중에 쿠 앞에 나타나 "지난 백 년간 이곳에서 갓파는 보지 못했다"고 말해주어, 쿠가 다른 동족을 찾기 어렵다는 사실을 깨닫게 한다.

; 키지무나

: 성우 - 고리 (개러지 세일)

: 오키나와섬 얀바루에 사는 요괴. 시사를 닮은 모습으로 그려졌으며, 인간으로 변신하는 능력이 있다. 텔레비전에 나온 쿠를 보고 안타깝게 여겨, 자신이 있는 곳으로 오라는 편지를 보낸다. 쿠가 오키나와에서 새로운 삶을 시작할 수 있도록 돕는 조력자 역할을 한다.

; (수신)

: 도쿄 타워에 올라 절망에 빠진 쿠 앞에 나타난 존재. 거대한 하얀 용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큰 비를 내려 쿠의 마른 접시를 적셔주고 삶을 포기하지 않도록 격려한다. 쿠의 아버지도 과거 가뭄 때 용이 나타나 비를 내리는 것을 본 적이 있다고 언급했다. 인간의 눈이나 카메라 렌즈로는 볼 수 있지만, 사진이나 영상에는 찍히지 않는 신비로운 존재이다.

; 토시오

: 성우 - 토미타 코세이

: 토노의 식당에서 만난 중년 남성. 갓파를 생포하여 상금을 받으려는 속셈을 가지고 있으며, 코이치도 자신과 같은 목적을 가졌다고 오해하여 갓파가 나올 만한 장소를 알려준다.

; 방송국 관계자들 (프로듀서, 디렉터 등)

: 성우 - 나야 로쿠로 (프로듀서), 겐다 텟쇼 (디렉터) 등

: 쿠를 텔레비전 쇼에 출연시키는 과정에서 시청률이나 방송 규정(쿠의 성기 노출 여부 등)에만 신경 쓰는 모습을 보인다. 매스 미디어의 상업주의적이고 피상적인 속성을 보여주는 인물들이다.

; 기자 및 카메라맨

: 성우 - 나리타 켄 (잡지 기자), 키무라 마사시 (카메라맨) 등

: 쿠의 존재를 특종으로 다루며 우에하라 가족의 사생활을 침해하고, 선정적인 보도 경쟁을 벌인다. 언론의 과열된 취재 행태와 그로 인한 폐해를 비판적으로 보여준다.

4. 제작진


  • 감독・각본[19] - 하라 케이이치
  • 원작 - 코구레 마사오 (「갓파 대소동」, 「갓파 깜짝 여행」에서) (이와사키 서점 간행)
  • 캐릭터 디자인・작화 감독 - 스에요시 유이치로
  • 미술 감독 - 나카무라 타카시 (스튜디오 유니)
  • 색채 설계 - 노나카 사치코
  • 촬영 감독 - 야노우치 코이치 (라이트 풋)
  • 편집 - 코지마 토시히코 (오카야스 프로모션)
  • CG 감독 - 츠츠미 노리유키
  • CG 이펙트 - 마츠야마 마사히코
  • 연출 조수 - 이시다 토오루
  • 음악 - 와카쿠사 케이
  • 음향 감독 - 오오쿠마 아키라
  • 음향 제작 - 오디오 플래닝 유
  • 음향 제작 데스크 - 하라다 아야코
  • 녹음 스튜디오 - APU MEGURO STUDIO
  • 제작 데스크 - 쵸난 요시지
  • 제작 프로듀서 - 스기야마 유타카 (덴츠)
  • 프로듀서 - 모기 히토시 (신에이 동화)
  • 애니메이션 제작 - 신에이 동화
  • 제자 - 타케다 소운
  • 협력 - 일본 자장가 협회, NPO 법인 일본 교육 부흥 연맹, (재) 하천 환경 관리 재단 어린이의 물가 지원 센터, (사) 일본 하천 협회
  • 협찬 - 동일본 여객철도 주식회사, 세이부 철도 주식회사
  • 지원 - 문화청
  • 후원 - 이와테현, 토노시, 히가시쿠루메시
  • 제작 - 「갓파 쿠우와 여름 방학」제작 위원회 (신에이 동화, 쇼치쿠, 덴츠, 덴츠 텍, 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 스카이퍼 웰싱크, 미쓰이물산, TV 아사히)
  • 배급 - 쇼치쿠

5. 주제

이 작품은 현대 사회에 되살아난 캇파 아이 '쿠'와 소년 코이치의 우정을 중심으로, 이를 둘러싼 인간 사회의 다양한 모습을 그리고 있다. 주요 주제로는 환경 문제, 따돌림, 언론의 과열 보도 등이 있으며, 이는 현대 일본사회 문제풍자적으로 드러낸다.[6]


  • 환경 문제: 영화의 시작 부분에서 쿠의 아버지는 연못을 간척하여 논으로 만들려는 인간들에게 개발 중단을 호소하다 사무라이에게 살해당한다. 이는 자연 환경을 파괴하는 인간의 행위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제시한다. 200년 후 현대로 배경이 옮겨와서도, 쿠가 살았던 자연 환경이 인간의 개발로 인해 사라졌음이 암시되며, 무분별한 개발과 환경 파괴의 심각성을 이야기한다.
  • 따돌림: 주인공 코이치는 처음에는 친구들의 압력에 못 이겨 동급생 키쿠치 사요코를 괴롭히는 데 동조한다. 이는 현대 사회, 특히 학교 내에서 벌어지는 집단 따돌림 문제를 반영한다. 영화는 쿠와의 만남을 통해 코이치가 점차 변화하여 키쿠치를 옹호하게 되는 과정을 보여주며, 따돌림 문제에 대한 성찰의 계기를 제공한다.
  • 언론의 과열 보도: 쿠의 존재가 알려지자 언론은 우에하라 가족의 집 주변에 진을 치고 사생활을 침해하며, 텔레비전 토크쇼에서는 시청률을 위해 쿠의 아픈 기억(아버지의 잘린 팔)을 자극하는 등 선정적인 태도를 보인다. 이는 개인의 삶을 파괴할 수 있는 매스 미디어의 과도한 취재 경쟁과 선정성, 그리고 언론 윤리의 부재를 비판적으로 묘사한다.
  • 가족애와 우정: 갑작스럽게 나타난 갓파 쿠를 받아들이고 함께 살아가는 우에하라 가족의 모습, 그리고 쿠와 코이치가 나누는 종족을 초월한 우정은 영화의 중요한 축을 이룬다. 특히, 애완견 오산이 쿠와 텔레파시로 소통하며 그의 아픔을 이해하는 모습이나, 코이치가 쿠와의 이별을 통해 성장하는 과정은 진정한 관계의 의미와 소중함을 보여준다.


또한, 이 작품은 대량 소비 사회 속에서도 변하지 않는 가치(가족애, 우정, 자연과의 교감 등)를 지키려는 가족의 이야기이기도 하다. 이러한 '변하는 것과 변하지 않는 것의 대비'라는 구도는 오즈 야스지로 감독의 영화 『동경 이야기』와도 공통점을 지닌다고 평가받는다.

6. 한국어 더빙

7. 수상 경력

연도시상식/영화제부문결과비고
2007제11회 문화청 미디어 예술제애니메이션 부문대상
아시아 태평양 스크린 어워드최우수 장편 애니메이션 영화상후보
제9회 타이베이 영화제어린이 영화 부문오디언스 초이스 어워드 (관객상)
제29회 요코하마 영화제2007년도 일본 영화 베스트 105위
제50회 아사히 베스트 텐 영화제일본 영화2위
제81회 키네마 준보 베스트 텐일본 영화5위
2008제31회 일본 아카데미상우수 애니메이션 작품상수상[4]
제62회 마이니치 영화 콩쿠르애니메이션 영화상수상[3]
도쿄 국제 애니메이션 페어 2008
(제7회 도쿄 애니메이션 어워드)
국내 극장 부문우수상[19]
도쿄 국제 애니메이션 페어 2008
(제7회 도쿄 애니메이션 어워드)
개인상 부문각본상[19]
제2회 Invitation AWARDS애니메이션상수상
제4회 제천국제음악영화제패밀리 페스트초청하라 케이이치 감독
2009제28회 브뤼셀국제애니메이션영화제장편애니메이션관객상 - 국제경쟁수상하라 케이이치 감독
제1회 서울국제사회복지영화제희망의 시작초청하라 케이이치 감독


8. 평가 및 영향

개봉 전 시사회 등에서부터 평판이 높았으며, 2007년 7월 18일 시점에서 Yahoo! 영화의 작품 유저 리뷰 100건에서 평균 4.65점의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21]。개봉 후에도 MovieWalker, Yahoo! 영화 등 여러 영화 사이트의 유저 만족도 랭킹에서 상위권을 유지했다. 요로 타케시, 다카하타 이사오, 가미야마 겐지, 호소다 마모루와 같은 애니메이션 감독들과 영화 감독 히구치 신지, 작가 나카시마 카즈키 등이 공식 사이트를 통해 응원 메시지를 보냈다.

작품성을 인정받아 제11회 문화청 미디어 예술제 애니메이션 부문 대상을 수상했으며, 제81회 키네마 준보 베스트 텐에도 선정되었다[7]。국제적으로도 주목받아 2007년 7월 타이완에서 열린 제9회 타이베이 영화제에서는 어린이 영화 부문 오디언스 초이스 어워드를 수상했다. 같은 해 11월 대한민국 서울에서 열린 일본 영화제에서는 오프닝 작품으로 상영되었으며, 2008년 9월에는 프랑스에서도 개봉되었다[16]

쇼치쿠 계열 101개 스크린에서 상영되어 흥행 수입은 3.6억을 기록했으며, 이는 2007년 일본 영화 흥행 수입 순위 50위에 해당한다[15]

영화의 주요 무대가 된 도쿄도 히가시쿠루메시에서는 영화 개봉에 맞춰 다양한 관련 이벤트를 개최했다[20]。일례로 2007년 8월 26일에는 영화 속 장소를 둘러보는 퀴즈 워크 이벤트가 열렸다. 또 다른 무대인 이와테현 도노시에서도 지역 관광 협회와 상공회 등이 중심이 되어 '「갓파 쿠와 여름방학」추진 실행 위원회'를 설립하고, 영화 홍보 활동과 지역 학생들을 위한 선행 상영회를 기획하는 등 지역 활성화를 위해 노력했다.

훗날 배우 키요하라 카야는 한 프로그램(기다릴 수 있는 변호사 사무소)에서 이 영화를 자신의 인생을 바꾼 애니메이션 중 하나로 언급하기도 했다.

9. 기타

영화의 배경은 도쿄도 히가시쿠루메시이와테현 토노시이다. 원작은 코구레 마사오의 아동 문학 『캇파 대소동』과 『캇파 깜짝 여행』이다.[6] 제작 발표 당시 가제는 『캇파가 준 선물』이었으며, 콘티에서의 제목은 『캇파 대소동』으로 되어 있었다.

감독인 하라 케이이치는 이 원작을 20년 동안 애니메이션화하고 싶어 했다고 한다. 1980년대 후반, 만화 원작 애니메이션이 주류를 이루던 시기에 아동 문학 작품을 찾던 중 『캇파 깜짝 여행』을 만났다. 하라 감독은 원작자 코구레 마사오를 찾아가 내용을 대폭 각색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고, 코구레는 "쿠우가 다시 세상에 나온다면, 어떤 형태로든"이라며 이를 승낙했다.[8] 원작의 무대는 군마현의 가상 도시 "히가시타치바나 시"였으나, 하라 감독이 코구레의 자택 방문 시 본 히가시쿠루메시의 구로메가와 풍경 등을 마음에 들어 해 영화의 무대로 설정했다.

완성 10년 전에 에닉스(당시)가 모집하는 애니메이션 기획에 응모하여 가작까지 이르렀지만, 그 이후의 진전은 없었다.[9] 하라 감독은 『짱구는 못말려』의 텔레비전 시리즈와 극장판을 연출 및 감독으로서 맡고 있을 무렵, 본작을 애니메이션화하는 것이 실현되지 않을 거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본작에서 하고 싶었던 아이디어를 조금씩 꺼내고 있었다고 한다.[10] 허가가 난다면 "짱구는 못말려"의 극장판에 쿠우를 등장시키는 것까지 생각했다. 하지만 하라의 이 작품의 애니메이션화에 대한 열의는 변함없이, 그 후 "짱구"의 성과를 본 관계자로부터 "해 봅시다"라는 말을 듣고, 마침내 OK 사인이 나왔다. 그리고, 5년에 걸친 제작 기간 (하라 왈, 실질적인 작업 기간은 2년)을 거쳐, 세상에 선보이게 된다. 원작자인 코구레는, 완성을 눈앞에 둔 2007년1월에 사망하여 유작이 되었다. 하라는 코구레에게 사죄와 감사의 변을 코멘트했다.[11]

애니메이션 제작은 『도라에몽』, 『짱구는 못말려』 등으로 알려진 신에이 동화가 맡았지만, 본 작품은 동사의 현 사명 변경 후 첫 극장 오리지널 작품이 된다. 원작을 대폭 개작했기 때문에, 애니메이션에서는 스토리 전개와 무대 설정이 다르다. 그리고 등장 캐릭터도 늘어, 각자의 심정도 더욱 세밀하게 그려졌다. 히가시쿠루메의 거리와 전원 풍경, 구로메가와 주변, 로케 헌팅도 시행했고, 미술 설정도 더욱 리얼하게 되었다. 또, 그림 콘티 시점에서 3시간 분량, 약 800페이지의 분량이 있었고, 거기서 불필요한 장면을 10분 정도 잘라냈다. 초호 러시 필름 시점에서 2시간 50분의 길이 있었고, 거기서 더 주위의 제안으로 약 30분이나 잘린 장면이 존재한다.[12] 하라는 이에 대해 "저로서는 상당히 힘든 작업이었습니다"라고 말했다.[13]

성우 캐스팅에서는, 지브리 작품이나 디즈니 작품처럼, 아역과 탤런트가 메인으로 기용되었다. 성우를 본업으로 하는 프로에게는 조역을 맡게 했다. 캐스팅은 하라가 직접 선정했다. 프로 성우의 이른바 애니메이션 목소리나 과장된 연기를 싫어하는 하라는, 연기 실력보다 아이의 목소리의 리얼리티를 구했다고 말하고 있다.[14] 아후레코에서는 아역의 스케줄 문제로 어른 역할과 아이 역할을 분리하여 녹음하기도 했다. 쿠우의 억양은, 코구레와 하라의 출신지이기도 한 군마현 부근의 방언인 군마벤에 가까운 것이 되었다. 쿠우의 아버지 역의 나기라 켄이치는, 이미 도호쿠식 억양으로 연기를 준비했으나, 하라로부터 "관동의 시골 같은 말로"라는 지시를 받았다.

쇼치쿠 계열의 101개 스크린에서 상영되어, 흥행 수입은 3.6억이었다. 2007년 일본 영화의 흥행 수입에서는 50위의 성적이 된다.[15]

극장 공개 전에 많은 시사회가 열렸을 뿐만 아니라, 국내외 영화제에서도 상영되었다. 2007년 7월 타이완에서 열린 제9회 타이베이 영화제에서는 어린이 영화 부문 오디언스 초이스 어워드를 수상했다. 11월 대한민국서울에서 열린 일본 영화제에서는 오프닝 작품으로 상영되었다. 2008년 9월에는 프랑스 국내에서도 개봉되었다.[16]

2013년7월에는, 고등학생이 된 주인공 코이치의 회상과 후일담으로 구성된 노벨라이즈 작품으로, 하라에게는 첫 소설이 되는 『캇파의 쿠우 6년 만의 여름 방학』(공저: 마루오 미호)이 후타바샤에서 발매되었다.

이 작품은 현대 사회에 되살아난 캇파 아이 '쿠우'와 소년 코이치의 우정, 그리고 이를 둘러싼 인간 군상을 그린다. 환경 문제, 따돌림, 언론의 과열 보도 등 일본의 사회 문제풍자하면서, 대량 소비 사회에 변함없이 대항하는 가족의 이야기이기도 하다. 변하는 것과 변하지 않는 것의 대비라는 구도는 오즈 야스지로의 『동경 이야기』와 공통된다. 제11회 문화청 미디어 예술제 애니메이션 부문 대상 외에 제81회 키네마 준보 베스트 텐[7]에도 선정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Kappa no ku to natsu yasumi (2007) https://boxofficemoj[...] 2015-12-08
[2] 웹사이트 GKIDS acquires ''The Case of Hana and Alice'', ''Genius Party'', ''Genius Party Beyond'', and ''Summer Days with Coo'' https://gkids.com/20[...] GKIDS 2019-05-30
[3] 웹사이트 Mainichi Film Concours: 2008 https://www.imdb.com[...] 2008-09-01
[4] 웹사이트 Tekkonkinkreet Wins Japan's Academy Award for Animation https://www.animenew[...] 2008-02-15
[5] 간행물 2007年 日本映画・外国映画 業界総決算 経営/製作/配給/興行のすべて キネマ旬報社
[6] 문서 原作は三部作で、これ以外にも『クウとてんぐとかっぱ大王』(現タイトル『クゥと河童大王』岩崎書店刊)も発表されている。
[7] 뉴스 宮崎駿と高畑勲作品以外の日本のアニメーション映画としては史上初 https://animeanime.j[...] アニメ!アニメ! 2008-01-11
[8] 웹사이트 ご近所のOLさんは、先端に腰掛けていた。vol.168 https://www.1101.com[...] 2007-08-21
[9] 문서 企画書にはキャラクターデザインとして、末吉裕一郎の案と湯浅政明の案が提示されている。これらは完成版よりもコミカル風の設定であった。2004年には、7分ほどのパイロット版も作られた(限定版DVDボックスの特典ディスクに収録)。
[10] 문서 『週刊少年チャンピオン』本誌におけるインタビュー記事。
[11] 문서 「ご近所のOLさんは、先端に腰掛けていた。vol.168」『ほぼ日刊イトイ新聞』2007年8月21日、及びプレス資料より
[12] 방송 NHK衛星第2『アニメギガ』2007年7月18日放送
[13] 웹사이트 この未公開シーンには前半の上原家との交流、後半のテレビ出演などのシーンが更に細かく描かれている。2008年5月28日に発売された限定版DVDボックスには、日常描写を中心とした約3分の追加シーンを含む「特別版本編」と、特典映像として未公開シーン約20分が収められた(「河童のクゥと夏休み」 アニプレックス公式サイト)。なお、2010年8月4日に発売されたブルーレイディスクには、劇場公開版ではなく「特別版本編」が収録されている(Sony Music Shop | 河童のクゥと夏休み(Blu-ray))。
[14] 잡지 原恵一監督、新作映画のキャスティングを語る! インフォバーン 2007-08
[15] 서적 映画ビジネスデータブック2008 キネ旬総研白書 キネマ旬報社
[16] 강연 2008年8月16日、滋賀県大津市の滋賀会館で行われた講演における原の発言
[17] 문서 限定DVD-BOX、およびブルーレイに収録の特別版本編にのみ収録されているシーン。
[18] 문서 限定DVD-BOX、およびブルーレイに収録のオーディオコメンタリーにおける原の発言より。
[19] 잡지 実際には本作に脚本は存在せず、劇場版『クレヨンしんちゃん』と同様にプロットから直接絵コンテが描かれている(「監督に聞く!ココが見どころ 切実なものを作りたいんです………監督/原恵一」『アニメージュ』2007年8月号、徳間書店)。
[20] 뉴스 河童の「クゥ」で街おこし 東京・東久留米 https://www.asahi.co[...] asahi.com 2007-06-06
[21] 신문 毎日新聞 毎日新聞 7月27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